가족 관계 고민 / / 2025. 3. 5. 17:10

공부로 인한 엄마와의 갈등, 어떻게 하면 좋을까? 6가지 마음가짐

반응형

목차

     

     

    엄마는 왜 나를 이해하지 못할까?

    “엄마가 너무 답답하고 싫어요.”

     

    엄마는 나를 사랑한다고 하지만,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공부를 잘해야만 인정해 주는 것 같아요. 시험을 망치면 실망하는 눈빛을 보낼 때마다 제 가치는 성적에 달려 있는 것 같고, 점점 위축됩니다. 엄마가 나를 이렇게까지 몰아붙이는 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인간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이유를 ‘과제의 분리’와 ‘인생의 해석’에서 찾습니다. 엄마가 나를 대하는 방식이 부담스러울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하면 좋을까요? 엄마와의 관계에서 지치지 않으면서도 내 삶을 지켜가는 방법을 고민해봅시다.

     

    엄마와의 갈등이 해소되면서 행복한 가족의 모습


    엄마와 나, 왜 이렇게 힘들까?

    엄마는 나를 사랑한다고 하지만, 왜 나는 엄마의 말이 부담스럽게 느껴질까요? 엄마는 공부를 강조할 때마다 "너를 위해서야"라고 하지만, 그 말이 위로가 되기는커녕 오히려 더 힘들게 합니다. 아들러는 우리가 경험하는 사건 자체보다,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는가’가 중요하다고 했어요.

     

    내가 엄마의 말을 ‘나는 공부를 못하면 가치 없는 사람이다’라고 해석하는 순간, 엄마와의 관계는 점점 더 지치고 힘들어집니다. 하지만 엄마는 ‘나는 네가 잘되길 바란다’는 마음에서 하는 말일 수도 있어요. 이처럼 같은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면서 서로 오해가 쌓이고, 결국 나는 점점 더 지쳐가는 거죠.

     


    문제 분석: 왜 나는 엄마에게 지칠까?

    1. 엄마의 기대가 부담이 될 때
      • 엄마는 나를 걱정해서 공부 이야기를 하지만, 나는 그것을 ‘내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어요. 하지만 엄마의 의도가 항상 내 해석과 같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2. 과제의 분리가 필요할 때
      • 아들러는 ‘과제의 분리’를 강조합니다. 즉, ‘공부’는 엄마의 과제가 아니라 나의 과제입니다. 엄마가 조언할 수는 있지만, 결국 공부를 할지 말지는 내 선택이고 내 책임이에요.
    3. 엄마와의 대화 방식이 힘들 때
      • 엄마가 나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공부 이야기를 하지만, 그 방식이 너무 강압적이거나 반복적이면 나는 점점 위축될 수 있어요. 나도 내 감정을 표현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엄마의 인정이 필요할 때
      • 아들러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중 하나가 ‘소속감’이라고 했어요. 나는 엄마에게 인정받고 싶은데, 공부로만 평가받는다고 느낀다면 엄마의 사랑을 확신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해결책: 엄마와의 관계에서 덜 지치려면

    1. 엄마의 말과 내 감정을 분리하기
      • 엄마: “공부 열심히 해야지.” (엄마의 걱정)
      • 나: “엄마가 나를 성적으로만 판단한다고 느껴.” (내 감정)
      • 엄마의 말이 무조건 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어요. 내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관계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어요.
    2. 엄마와 관계를 조율하는 연습하기
      • 엄마가 공부 이야기를 할 때마다 힘들다면, 그 주제를 자연스럽게 피하거나 대화를 전환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엄마, 오늘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어”라고 말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3. 내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기
      • “엄마, 나는 공부 이야기가 나오면 부담이 돼. 엄마가 나를 걱정하는 걸 알지만, 가끔은 그냥 내 이야기를 들어주면 좋겠어.”
      • 엄마가 내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차분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공부 외의 관계를 형성하기
      • 공부 이야기가 주된 대화 주제가 되지 않도록, 엄마와 다른 활동(산책, 취미 공유, 가벼운 대화 등)을 늘려보세요. 관계의 초점을 공부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스스로를 위한 선택을 하기
      • 공부는 나의 과제이고, 나는 내 방식대로 할 수 있어요. 엄마가 내 방식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길을 걸을 수 있습니다.
    6. 엄마를 이해하는 마음 가지기
      • 엄마도 완벽한 사람이 아니에요. 엄마는 엄마 나름대로 걱정하고 최선을 다하고 있을지도 몰라요. 엄마가 나를 힘들게 할 의도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도 관계를 덜 지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결론: 엄마와의 관계, 나를 지키면서 유지하기

    엄마가 나를 사랑하면서도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아들러는 “인간의 고민은 결국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고 했어요. 엄마와의 관계에서 고민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내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관계가 바뀔 수 있습니다.

    엄마의 기대를 전부 받아들이지 않으면서도, 엄마와의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엄마와의 관계에서 덜 지치기 위해, 내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공부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형성하며, 무엇보다 내 삶의 선택권을 스스로 갖는 연습을 해보세요. 엄마가 나를 지치게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내가 엄마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참고 문헌

    1. Adler, A. (1929). The Science of Living. Greenberg.
    2. Dreikurs, R. (1995). Children: The Challenge. Plume.
    3. Ansbacher, H. L., & Ansbacher, R. R. (1956).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 Harper & Row.
    4. Sweeney, T. J. (2009).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 Practitioner’s Approach. Routledge.
    5. Ferguson, E. D. (2010). Adlerian Theory: An Introduction. SAGE Publications.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