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관계 고민 / / 2025. 3. 5. 15:00

아무 의지가 없다는 와이프, 어떻게 해야 할까? 아들러가 조언하는 3가지 개선 방안

반응형

목차

    1. "나는 혼자만 고민하고 있는 걸까?"

    결혼 생활을 하면서 배우자가 가족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때 오는 좌절감은 상당합니다.
    특히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는 시점에서 배우자가 무기력하고, 현실적인 고민을 나누려 해도 벽에 대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면?

    주변을 보면 맞벌이하며 가정을 꾸려나가는 친구들이 많고, 내 아내는 그저 누워서 핸드폰만 보고 있다면 억울하고 답답한 마음이 들 수도 있습니다.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과연 아내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어쩌면 나 혼자 고민하는 게 무의미한 걸까?"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배우자가 왜 이토록 무기력한지, 어떻게 하면 대화가 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와이프가 무기력함을 극복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룬 가족의 모습


    2.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

    청년

    "선생님, 제 아내는 의지가 없습니다. 그냥 매일 핸드폰만 보고 누워 있고, 제가 교육비나 미래 계획을 이야기해도 그냥 듣고만 있어요. 마치 벽에다 얘기하는 것 같아요."

    철학자

    "아내가 원래부터 무기력한 사람이었나요?"

    청년

    "연애할 때부터 스트레스 받는 걸 싫어하고, 적게 벌어도 편하게 살고 싶다고 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가정이 있고, 아이들도 있으니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지 않나요?"

    철학자

    "그렇다면, 아내는 지금도 자신의 원래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겠군요."

    청년

    "그런데 현실이 바뀌었잖아요. 아이들 교육비도 많이 들고, 저 혼자 버는 걸로는 한계가 있어요. 제가 계속 고민하고 계획을 세워도, 아내는 고민조차 하지 않는 것 같아요."

    철학자

    "그렇다면, 질문을 하나 해보겠습니다. 아내에게 현실을 바꾸려는 의지가 없는 것일까요, 아니면 바꿀 방법을 모르고 있는 것일까요?"

    청년

    "음… 그게 다르다고요?"

    철학자

    "예를 들어, 시험을 앞둔 학생이 있다고 합시다.
    ① '나는 공부를 하고 싶지 않아.' → 의지가 없는 상태
    ②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어.' → 방법을 모르는 상태

    두 경우는 전혀 다르죠. 당신의 아내는 어떤 상태인가요?"

    청년

    "잘 모르겠어요.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는 걸 보면 의지가 없는 것 같아요."

    철학자

    "하지만 만약 방법을 모르는 것이라면, 당신이 아무리 '일을 해라, 미래를 준비하라'고 해도, 아내는 움직일 수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니까요."

    청년

    "그럼 어떻게 해야 하죠? 설마 하나하나 알려줘야 하나요?"

    철학자

    "아내의 상태를 먼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당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아내가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게 만들어야 합니다."


    3. 문제 분석: 배우자가 무기력할 때, 원인은 무엇인가?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특정한 행동을 보일 때, 그 행동의 목적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봅니다.
    아내가 무기력한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① 과거의 생활양식 유지

    • 원래부터 편한 삶을 선호하고, 삶의 변화에 대한 욕구가 낮은 경우
    • "이렇게 살아도 크게 문제없다"는 사고방식

    ② 현실적인 무기력

    •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행동을 미루는 경우
    • 스스로 변화할 방법을 찾을 의지가 없는 상태

    ③ 관계적 소외감

    • 오랜 기간 중요한 의사결정에서 배제되어 "내가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학습된 경우
    • 본인도 모르게 남편이 모든 것을 해결하는 관계 패턴이 형성된 것

    이 세 가지 중 어떤 이유에서 아내가 무기력한지에 따라 해결책이 달라집니다.


    4. 해결방안: 아내를 변화시키는 실질적인 방법

    ① 과제의 분리: 아내가 ‘고민할 기회’를 주자

    지금까지 아내는 고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남편이 알아서 해결해 주었고, 자신은 관여하지 않아도 살아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남편이 모든 결정을 하면, 아내는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 해결책: "과제의 분리" 실천하기

    • 매달 전체 생활비를 정하고, 일부 금액을 "아내가 직접 관리하게" 맡긴다.
    • 교육비 문제도 직접 고민해보게 하고, 선택의 책임을 맡긴다.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해?"라는 질문을 던지고, 답을 유도한다.

    (예시 대화)
    남편: "이번 달 생활비에서 30만 원은 네가 알아서 관리해줘."
    아내: "뭐? 왜 내가?"
    남편: "우리 둘 다 고민해야 하는 문제잖아. 어떻게 하면 좋을지 한 번 생각해봐."

    이렇게 하면, 아내가 스스로 고민하는 경험을 처음으로 하게 됩니다.


    ②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게 유도하기

    아내가 무기력한 이유는 "크게 변화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 해결책: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게 유도하기

    • 하루에 1~2시간만이라도 생산적인 활동을 하게 만들기 (취미, 운동, 단기 아르바이트 등)
    • "이건 부담 없이 해볼 수 있겠다"는 마음을 갖게 만들기

    (예시)
    남편: "주 2회 2시간씩만 일해보는 건 어때?"
    아내: "그걸 왜 해야 해?"
    남편: "내가 다 책임지는 것도 한계가 있잖아. 조금만 도와줘."
    (무리한 요구가 아닌, 가능한 수준부터 시작)


    ③ 관계 개선: 동등한 파트너로 만들기

    남편이 아내를 "의지가 없는 사람"이라고 규정하면, 아내도 스스로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내는 "내가 고민해봤자 소용없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해결책: 함께 결정하는 경험을 늘리기

    • 집안일, 경제, 교육 등 여러 문제에서 아내가 의견을 낼 기회를 주기
    • "네가 결정한 거니까 믿어볼게"라는 태도로 신뢰하기

    (예시)
    남편: "이번 달 교육비 어떻게 쓸지 네가 결정해줘."
    아내: "나한테 왜 그래? 난 모르겠어."
    남편: "괜찮아, 한 번 생각해보고 알려줘."

    이런 식으로 아내가 결정권을 가지게 하면, 점점 책임감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결론: 변화는 천천히, 하지만 확실하게

    배우자를 변화시키는 것은 하루아침에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스로 고민할 기회를 주고,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게 유도하면" 변화의 가능성이 생깁니다.

    지금부터라도 아내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그러면 조금씩, 하지만 확실하게 변화를 보게 될 것입니다.

     

    📚 참고 문헌 및 출처

    1. 아들러 심리학 관련 서적 및 논문
      • Alfred Adler, Understanding Human Nature (1927)
      • Alfred Adler, The Science of Living (1929)
      • Dreikurs, R. (1995). Children: The Challenge. Plume.
      • Ansbacher, H. L., & Ansbacher, R. R. (1956).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 Harper & Row.
    2. 아들러 심리학 개념 및 이론
      • "과제의 분리" 개념: Alfred Adler가 주장한 개인심리학에서 핵심 개념으로, 인간관계에서 타인의 문제와 자신의 문제를 분리하여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함.
      • "생활양식(Lifestyle)": 개인이 어린 시절 형성한 세계관과 문제 해결 방식이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된다는 개념.
    3. 심리학 연구 및 관련 자료
      •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3), 497–529.
        → 인간관계와 소속감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4. 현대 심리학 연구 및 사례
      • Dweck, C. S. (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Random House.
        → 인간의 성장 마인드셋과 변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Free Press.
        → 긍정심리학과 인간의 의지 및 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
    5. 아들러 심리학 정리 파일
      • 사용자가 제공한 📄 아들러 개인 심리학 정리 파일 참조【5】

    위 참고 자료를 기반으로 배우자의 무기력과 관계 개선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